본문 바로가기
역사공부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by Sueña. 해나 2020. 12. 22.
728x90
반응형

요즘의 트렌드라고 해야할까. 개인의 역량, 교사의 역량을 키우는 일이 중요하다. 역량을 키운다는 것은 무엇일까? 꾸준히 자신의 발전을 위해 노력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역량이란 무엇일까? 다음 사전을 검색해보았다. 그냥 느낌으로 아는 것과 확실하게 확인하여 아는 것은 다르기 때문이다. 

역량 [力量] : 어떤 일을 해낼 수 있는 힘이나 기량. (출처 : 다음사전)

유의어로는 '능력'이 있다. 

능력 : (기본의미) 어떤일을 해낼 수 있는 힘. 또는 어떤 일에 대한 재능. (출처 : 다음사전)

요즘은 우리에게 다양한 능력과 역량을 요구한다. 현재 가장 최신의, 물론 2020년으로 개정된 사항도 있긴 하지만 대표적으로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언급하고 있는 핵심 역량과 교과 역량을 살펴보고자 한다.

 

 

2015개정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제시된 역량 : 미래사회를 살아가면서 직면하게 될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 즉 학생의 삶 속에서 무언가를 할 줄 아는 실질적인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핵심역량을 제시하였습니다. 핵심역량은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 그리고 학교 생활 전반에 걸쳐 길러야 할 능력이며, 특히 각 교과에서는 총론의 역량과 연계하여 교과에 맞는 역량을 제시하고, 교과의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을 운영하도록 하였습니다. 

1) 자기관리 역량 : 자아정체성과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삶과 진로에 필요한 기초 능력과 자질을 갖추어 자기주도적으로 살아
갈 수 있는 능력.
2) 지식정보처리 역량 :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정보를 처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 
3) 창의적 사고 역량 : 폭넓은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전문 분야의 지식, 기술, 경험을 융합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능력. 
4) 심미적 감성 역량 : 인간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문화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향유하는 능력. 
5) 의사소통 역량 :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며 존중하는 능력. 
6) 공동체 역량 : 지역, 국가, 세게 공동체의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 태도를 가지고 공동체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능력. 

나는 위와 같은 사람일 수 있을까? '교사'가 되기 위해 나는 어떤 역량을 가지고 있을까? 멈춰 있는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2015년 개정교육과정 중 역사 교과역량을 살펴보자면 다섯가지가 있다. 
1) 역사적 사실의 이해 : 과거의 사건, 인물, 구조, 변화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중요한 역사 용어나 개념을 이해하는 능력 의미.
2) 역사 자료 분석과 해석 : 역사 자료를 읽고 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역사 지식을 구성하는 능력을 의미. 
3) 역사 정보 활용 및 의사소통 : 다양한 매체를 통해 얻은 정보를 분석, 토론, 종합, 평가하는 능력 의미. 
4) 역사적 판단력과 문제해결능력 :  과거 사례에 비추어 오늘날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의미.
5) 정체성과 상호존중 : 우리 역사 세계와 세계 역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의 관점에서 오늘날 요구되는 역사 의식을 
함양하고 타인을 이해하고 존경하는 태도를 갖는 능력을 의미.  

* 참고 사이트 : NCIC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 2015개정교육과정 총론을 인용하였습니다.

*2015개정교육과정 중 역사과 역량을 인용하였습니다.

* 문제시 삭제하겠습니다.

 

이렇게 매번 외웠는데-

내가 키우고자 하는 역량은 '역사' 자체에 대한 연결고리, 사건들의 연결고리이다. 또 다른 역량은 글쓰기에 대한 역량이다. 따뜻한 말, 따뜻한 글로 사람들을 이끌고 싶다는 마음. 사람은 자신의 역량에 대한 것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 배움엔 끝이 없다고 해야할까? 사실 배우는 과정이 어렵지만 재미있다. 그것이 참 매력이다. 나만의 매력적인 역량을 갖춘 사람이 되고자 한다. 새로운 목표가 생겼다. 두구두구!     

LIST

'역사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 연구의 방법  (4) 2021.01.10
역사의 의미  (5) 2021.01.08
[통일신라] 의상대사와 낙산사  (0) 2020.12.16
[한자] 구몬한자, 전공사료  (1) 2020.12.14
설명이 필요해(feat. 합리적설명)  (0) 2020.12.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