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역사공부31 역사교육의 목적(2) 지난번 글에는 중학생이 배우는 '역사' 과목에서 말하는 역사교육의 목적을 이야기해봤어요. 오늘은 역사교육과에서 배우는 역사교육의 목적을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역사'책에 있던 내용에서 조금 더 추가가 되었어요. 이번 포스팅에서 참고할 책은 '역사교육의 이해'입니다. 일명 파란책이라고도 불리는데요, 책 표지의 절반이 파란색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이에요. 조금 더 TMI하자면 역사교육론(역교론)책은 이름이 대부분 색깔로 불리고 있어요. 파란책(역사교육의 이해), 녹색책(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남색책(역사교육의 이론), 갈색책(역사교육과 역사인식) 등이에요. 본론으로 들어가서 파란책에서는 역사교육의 목적을 5가지로 분류해서 이야기하고 있어요. 역사교육의 내재적 가치, 역사적 교훈, 교양으로서 역사, 민족공통.. 2021. 5. 20. 역사 연구의 방법 지난번 글에서는 역사의 의미에 대해서 이야기했어요. 이번 글에서는 역사 연구의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해요. 역사 사건은 우리가 배우기 까지 어떤 과정을 거쳐서 다가올까요? 혹시 생각해보신적 있을까요? 어쩌면 영화나 드라마처럼 버튼 하나 누르면 과거로 슝 날아가서 사건을 보고 온다거나 아니면 교과서나 역사책에서 처럼 페이지를 딱 펼쳤을 때 나타나 있는 것들을 상상할지도 모르겠어요. 그렇다면 역사 사건이 발생하면 모든 증거와 자료들이 그대로 존재할까요? 그대로 존재한다면 정말로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아요. 우리는 과거의 사건을 직접 만날 수 없어요. 특히 고대나 중세, 근대의 사건들은 이미 지나간 역사이기 때문이에요.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그 시대 사람들이 남긴 역사적 자료인 ‘사료’에요. 사.. 2021. 1. 10. 역사의 의미 * 참고문헌 15개정 동아출판 역사교과서 입니다. * 문제 시 삭제 하겠습니다. 요즘 2015개정 중학 역사를 공부하고 있는데 앞 부분에서 ‘역사’에 대해 잘 설명하고 있다. 매번 역사적 사건들만 배우기 급급했는데 ‘역사’라는 본질적인 것에서 접근하려니 신선하고 좋다. 앞으로 몇 개의 포스팅에서 ‘역사의 의미’, 역사 연구의 방법’, ‘역사 학습의 목적’을 이야기 해보려 한다. 역사란 무엇일까? 하나로 단정하기에는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역사를 ‘과거’라고 한다면 몇 만년 전 부터 조금 전 까지가 모두 역사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역사를 배운다고 할 때 과거의 사실들을 모두 배울까? 그렇지는 않다. 역사는 역사가들이 배울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선정하고 연구하여 기록한 것을 의미한다. “역.. 2021. 1. 8. 이전 1 ···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