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서양사17

서아시아 지역 - 티무르왕조 오늘 내용은 교과서에서는 ‘이슬람 제국의 다원화’ 혹은 이슬람 세계의 팽창이라는 제목으로 다루는 부분이다. 13세기 아바스왕조는 몽골의 훌라구에게 멸망하고 만다. 훌라구는 칭기스칸의 막내 아들인 툴루이의 셋째 아들이다. 현재 이란과 이라크 지역에 일한국을 세운다. 14세기 후반 중앙아시아 지역에 티무르 왕조가 등장한다(1370). 왕조 창업자인 티무르는 징기스칸의 후예임을 자처했고, 몽골제국의 재건을 꿈꿨다. * 지도에서 티무르 왕조의 위치를 봐주세요. 티무르 왕조의 수도는 사마르칸트이다. 사마르칸트는 동서교역의 중심지였다. 이에 유럽과 아시아 사이에서 무역을 독점하며 번영할 수 있었다. 티무르 왕조는 오스만제국과 마찰이 있었는데 1402년 앙카라 전투이다. 앙카라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티무르는 남쪽으로.. 2021. 12. 3.
서아시아지역 - 오스만제국의 문화 오스만제국의 문화는 광대한 지역을 다스렸던 만큼 다양한 문화가 융합되었다. 오스만제국은 이슬람의 문화와 페르시아의 문화, 튀르크의 고유 문화에 비잔티움을 멸망시키고 그 지역의 문화를 흡수했다. 오스만 제국의 건축에서는 모스크가 많다. 모스크는 비잔티움 양식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여러개의 돔이 쌓여있는 모양이다. 대표적으로 술탄 아흐메트 사원이 있다. 술탄 아흐메트 사원은 술탄 아흐메트1세의 명령에 따라 건축되었다. 사원 내부가 2만여 개의 푸른색 타일로 장식되어 있어 창으로 들어오는 빛이 푸르게 보이기 때문에 ‘블루 모스크’라 불린다. 15개정 비상 고등학교 세계사 85p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40712&cid=67006&categoryId.. 2021. 12. 2.
서아시아 지역 - 셀주크튀르크 #서아시아사 이번 글 부터는 서아시아지역에 성립했던 나라들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 해요. 셀주크튀르크, 오스만튀르크, 티무르왕조, 사파비왕조를 다룰거에요. 이슬람 확산에 기여한 튀르크인들 몽골 초원 위에 돌궐 제국과 위구르 제국을 세웠던 튀르크인들은 탈라스전투(751) 이후 대거 이슬람으로 개종하였다. 그들은 ‘튀르크인들의 땅’인 중앙아시아에 이슬람을 전파했고, 그 일부는 중앙아시아의 서쪽으로 계속 이동하여 서아시아의 새로운 지배자게 되었다. 이들이 건설한 셀주크 튀르크와 오스만튀르크는 소아시아 발칸 지역으로까지 이슬람을 확산시켰고, 중앙아시아에서 북인도에 진출한 또 다른 튀르크인들은 인도에 이슬람교를 전파하였다. 14세기 초 중앙아시아에서 서아시아에 이르는 티무르 왕조를 건설한 티무르와 16세기에 인도에.. 2021. 11. 24.
이슬람 사회의 문화(2) 이슬람 사회는 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학문이 발달했어요. 예로 무함마드으 일대기를 작성하면서 역사학이, 이슬람 상인들의 상업 활동으로 지리학이 발달했어요. 이븐할둔은 에서 사회의 형성, 변화의 법칙을 밝혔고, 이븐 바투타는 이집트, 중국 등을 둘러보고 를 남겼다. 문학에서는 여러 지역의 설화를 모은 가 유명하였다. 15개정 금성출판사 세계사 84p 천일야화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이다. 아랍지역과 인도 등 여러 지역의 이야기들을 모은 것이다. 이슬람 문화에서 자연과학이 상당히 발달했다. 종합 병원의 모태, 이슬람 병원 8세기 말 바그다드에 아두드 병원이 세워진 이후 카이로, 다마스쿠스 등 곳곳에 병원이 생겼다. 의사들은 분야별로 시험을 거친 후 채용되었고, 병원은 외래 진료 동과 병동을 분리하였다. 등록 .. 2021. 1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