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공부

이집트 문명(2)

by Sueña. 해나 2021. 12. 10.
728x90
반응형

이집트에서는 왕은 태양의 신 ‘라’의 아들이라 여기고, 스스로를 파라오라 불렀다.

살아 있는 신인 파라오는 종교적 권위의 바탕 위에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며 신권 정치를 펼쳤다. 제사장과 관료들은 파라오로부터 토지를 받아 지배층을 형성하였다. 반면 대부분의 백성은 공납을 바치고 피라미드 건설과 같은 대규모 토목 공사에 동원되었다.
09개정 금성출판사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34p


이집트는 일신교의 사상을 가졌을 듯하나 의외로 여러 신을 섬겼다. 태양신 라를 비롯하여 여려 신들을 믿었고, 영혼불멸, 사후 세계 혹은 내세를 믿었기에 미라를 제작했다.

이집트는 파피루스라는 종이를 만들어 상형문자를 이용하여 기록했다. 파피루스는 나일강변에서 자라는 풀이다. 나일강은 1년 중 일정한 시기에 범람을 했는데, 사람들은 그 범람 시기를 예측했고, 그 과정에서 천문학이 발달했다. 나일강이 범람하고나면 싹 쓸어갔기에 다시 측량을 해야 했다. 이에 측량술과 기하학이 발달했다고 한다.

나일강이 범람한 후 경작지를 새로 구획하는 과정에서 기하학과 측량술이 발달하였고, 이는 피라미드 건축에도 활용되었다. 한편, 미라를 만드는 풍습은 의학의 발달을 가져왔다. 수학이 발달하여 10진법이 사용되었다.
15개정 천재교육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28p


예전에 애니메이션 ‘이집트의 왕자’를 봤던 기억이 있다. 노예들이 맞아가며 피라미드를 건설하는 장면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래서 늘 머리엔 피라미드 = 노예들의 고통 이라는 생각을 했었다. 그러다 어느 교과서에서 보았던 내용은 살짝 충격이었다.

피라미드는 누가 건살했을까?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따르면 이집트 기자의 피라미드는 10만 명이 3개월씩 교대로 10년 동안 일해 완성하였다고 한다. 최근의 연구 성과에 따르면 피라미드 건설에 노예만이 아니라 보수를 받는 노동자들이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실은 노동자들의 야영지 흔적이나 테베 근방에서 발견된 노동자 생활 유적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측량사, 공학자, 목수, 채석공은 물론 석재를 옮겨 공사 현장에 쌓아 놓는 단순 노동자들에게도 숙식을 제공하고 노동의 대가를 주었다. 서기들이 기록한 결석자 명단에 따르면 노동자들이 작업에 빠지는 경우도 많았다. 감독관과 싸워서 며칠 동안 일을 나가지 않아 부인에게 바가지를 긁히고 결국 일을 나왔다고 투덜거린 기록도 발견되었다.
15개정 미래엔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22p


알고 있던 사실과 다른 사실을 발견하는 일도 매우 흥미롭다. 하나의 고정관념이 사라진 셈이니까 말이다.

LIST

'역사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 문명(2)  (1) 2021.12.12
인도 문명(1)  (1) 2021.12.11
이집트 문명 (1)  (1) 2021.12.09
나일강 위치와 오개념  (4) 2021.12.08
메소포타미아 문명  (1) 2021.12.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