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역사블로그10

나일강 위치와 오개념 이집트 문명은 나일강 유역에서 발생 했다. 이집트 문명에 대해서는 고등학교 시절 혹은 그 이전부터 배웠는데 최근에서야 오개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지리시간이었나 나일강 하구 삼각주에 대한 이야기 였다. 나일강은 이집트를 세로로 지르는 강이다. 내가 생각한 하구는 지도에서 보이는대로 아래쪽이었다. 지도에 표시한 지역이 내가 생각한 오개념이다. 아래쪽이라 ‘하구’라 생각했고 ‘하이집트’라 생각한 것이다. 지리적 상식이 크게 없지만 강은 바다로 흐른다는 것은 알고 있다. 그래서! 나일강은 지중해 방향으로 흘러간다. 지중해 쪽이 나일강의 하구이며, 하이집트 인 것이다. 어린이 책을 보다 발견했는데, 그때 느낀 충격은 매우 크다. * 지중해와 나일강의 위치를 확인해보자. 역사를 배우면서 지도는 매우 중요하.. 2021. 12. 8.
문명의 발생 세계사 수업을 할 때 가장 앞 부분에서 배우는 내용이다. 물론 구석기, 신석기 시대의 내용이 조금 더 앞에 있긴 하지만 그 내용은 조금 지루하여 문명부터 다뤄보려 한다. *문명의 발생 조건 우리는 세계 4대 문명을 알고 있다.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인도(인더스), 중국 문명이다. 이 지역의 공통점이라하면 큰 강유역에서 발생했다는 것이다. 메소포타미아는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유역에서, 이집트는 나일강 유역에서, 인도는 인더스강 유역에서 중국은 황하강 유역에서 발생했다. 사람들은 주로 기후가 따뜻하고 기름진 토지가 있는 큰 강 유역에 정착하여 관개 농업을 실시하였다. 관개 농업에는 노동력이 많이 필요하였기 때문에 부족 간 통합이 촉진되었다. 15개정 비상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21p 큰 강 유역에.. 2021. 12. 6.
역사 블로그 방향 티스토리에 전공 공부를 한 것을 올리려고 했을 때 체계가 딱히 없었다. 생각나는 주제, 이슈가 되는 주제를 찾아보고 올리기도 했고, 서양 중세사를 좋아해서 그 부분을 올려야겠다는 생각을 하다 전공책을 보고 올리기도 했다. 그러다 한동안 작성하지 않았고 조금 편하게 교과서대로 가자 생각하여 교과서를 중심으로 올리고 있다. 물론 서양 중세에 나오는 이슬람이었는데, 그러다보니 이슬람, 서아시아사를 근현대 전까지 본듯하다. 조금 뒤죽박죽하지만 교과서의 가장 앞 부분인 문명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세계사 교과서는 비슷한 시기의 역사들을 골고루 챕터에 담고 있다. 시간상으로 볼 때는 매우 좋은데, 각 나라의 맥이 끊기는 부분에선 불편하다. 공부를 할때는 하나의 나라 혹은 지역만 쭉 뽑아서 공부하기도 한다. 앞으.. 2021. 12. 5.
서아시아지역 - 사파비왕조 1501년 페르시아((이란)지역에 이스마일 1세가 사파비 왕조를 세웠다. 시아파 이슬람교를 국교로 삼은 사파비 왕조는 페르시아의 군주 칭호인 ‘샤’를 사용하는 등 고대 페르시아 제국의 계승을 내세웠다. 15개정 미래엔 세계사 교과서 79p *페르시아와 이란에 관한 짧은 이야기 이란은 대다수의 국민이 이슬람교를 믿고, 이슬람교 중에서도 대부분은 시아파이다. 이란은 과거에 페르시아라고 불리기도 했다. 그러나 1935년 아리아인의 나라라는 의미로 ‘이란’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이란 기원전 559년에 건설된 페르시아제국 이래 2,500년의 역사와 문화전통을 지닌 나라로 1906년 근대헌법이 공포된 뒤 1925년 팔레비 왕조가 세워졌으나, 1980년 9월 호메이니(Khomeini)에 의하여 이슬람교공화국으로 되었.. 2021. 1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