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셀주크튀르크2

서아시아 지역 - 셀주크튀르크 #서아시아사 이번 글 부터는 서아시아지역에 성립했던 나라들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 해요. 셀주크튀르크, 오스만튀르크, 티무르왕조, 사파비왕조를 다룰거에요. 이슬람 확산에 기여한 튀르크인들 몽골 초원 위에 돌궐 제국과 위구르 제국을 세웠던 튀르크인들은 탈라스전투(751) 이후 대거 이슬람으로 개종하였다. 그들은 ‘튀르크인들의 땅’인 중앙아시아에 이슬람을 전파했고, 그 일부는 중앙아시아의 서쪽으로 계속 이동하여 서아시아의 새로운 지배자게 되었다. 이들이 건설한 셀주크 튀르크와 오스만튀르크는 소아시아 발칸 지역으로까지 이슬람을 확산시켰고, 중앙아시아에서 북인도에 진출한 또 다른 튀르크인들은 인도에 이슬람교를 전파하였다. 14세기 초 중앙아시아에서 서아시아에 이르는 티무르 왕조를 건설한 티무르와 16세기에 인도에.. 2021. 11. 24.
아바스 왕조와 이슬람 세계의 변화(2) 지난 글에서 아바스 왕조가 분열되는 모습을 보았어요. 첫째로 주변 지역에서 유일한 지도자 칼리프를 칭하는 세력이 늘었고 이를 아바스 왕조가 제어하지 못했어요. 둘째로 아바스 왕조 지방의 총독들이 독립하기 시작했어요. 이들은 정치적, 군사적 실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력이 커지니까 하나의 국가처럼 되어버렸어요. 마지막으로 이민족의 침입을 살펴보려해요. 9세기 중엽부터 많은 튀르크계 민족이 중앙아시아에서 서아시아로 이주하여 아바스 왕조의 친위대와 이슬람 지방 정권의 군대에서 활약하였다. 15개정 금성출판사 세계사 82p 당시 아바스 왕조는 튀르크계 군대로부터 칼리프가 위협을 받고 있었다. 945년 부와이 왕조가 바그다드에 입성하고 튀르크계로부터 위협을 받는 아바스왕조의 칼리프로부터 환영을 받게된다. 이후 .. 2021.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