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튀르크사3

서아시아지역 - 오스만제국의 사회 오스만제국의 전성기에는 유럽, 서아시아, 아프리카, 아라비아에 이르는 대 재국을 건설하였다. 넓은 영토와 다양한 민족을 어떻게 다스렸을까? 오스만제국에는 이슬람교도와 비이슬람교도가 섞여 살았다. 비이슬람교도는 오스만제국의 관용정치에 따라 인두세만 납부하며 종교의 자유를 누릴 수 있었다. 또한 *밀레트제도라는 종교 공공체를 만들어 운영하였다. 밀레트 제도 밀레투눈 같은 종교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종교, 정치 공동체이다. 그리스정교도, 유대교도 등이 각각의 밀레트를 이루었다. 오스만 제국은 각 밀레트에 종교적 자유와 함께 교육, 언어, 관습, 재판 등에 폭넓은 자율권을 부여하였다. 이에 각 밀레트는 오스만 제국에 충성하였고 지즈야를 비롯한 세금을 납부하였다. 모든 밀레트 구성원은 개인의 능력에 따라 출세할 수.. 2021. 11. 29.
서아시아지역 - 오스만제국의 발전 지난 글에서는 오스만제국의 성립과 메흐메트 2세, 셀림 1세를 알아보았어요. 이번 글에서는 오스만제국에서 대제라 불리는 슐레이만 1세와 셀림 2세를 알아보려 해요. *슐레이만 1세(1520-1566) 오스만제국의 전성기는 슐레이만 1세 시기이다. 슐레이만 시기에 영토를 최대로 확장했고 문화적으로도 큰 발전을 이뤘기 때문이다. 슐레이만 1세는 1526년 헝가리의 모하치 근처에서 전투를 벌였으며 헝가리 군대에 큰 승리를 했다. 1529년에는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의 요청으로 빈을 포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함락하지는 못했다. 이를 제1차 빈공격 실패라 한다. 카알 5세에게는 몇 가지 불리한 점이 있었다. 앞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그의 광대한 제국은 결코 통일적인 성질의 것이 아니었으며, 독일은 영방국가와 자.. 2021. 11. 28.
서아시아 지역 - 셀주크튀르크 #서아시아사 이번 글 부터는 서아시아지역에 성립했던 나라들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 해요. 셀주크튀르크, 오스만튀르크, 티무르왕조, 사파비왕조를 다룰거에요. 이슬람 확산에 기여한 튀르크인들 몽골 초원 위에 돌궐 제국과 위구르 제국을 세웠던 튀르크인들은 탈라스전투(751) 이후 대거 이슬람으로 개종하였다. 그들은 ‘튀르크인들의 땅’인 중앙아시아에 이슬람을 전파했고, 그 일부는 중앙아시아의 서쪽으로 계속 이동하여 서아시아의 새로운 지배자게 되었다. 이들이 건설한 셀주크 튀르크와 오스만튀르크는 소아시아 발칸 지역으로까지 이슬람을 확산시켰고, 중앙아시아에서 북인도에 진출한 또 다른 튀르크인들은 인도에 이슬람교를 전파하였다. 14세기 초 중앙아시아에서 서아시아에 이르는 티무르 왕조를 건설한 티무르와 16세기에 인도에.. 2021. 11. 24.